ε♡з하나님께로..ε♡з/성경,말씀,설교,묵상

제 5주 주간 성경 읽기

예림의집 2008. 10. 5. 21:28

제 5주 주간 성경 읽기


(월) 출 16-20장: 홍해에서 시내산까지

☞ 개관
  이스라엘 백성들은 엘림을 떠나서 2월 15일에 신광야에 도착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곳에 음식 문제로 불평했으며, 하나님은 그들을 위해서 만나를 내려주셨다. 그 후에 그들은 신광야를 떠나서 르비딤에 도착했다. 그러나 그 곳에는 마실 물이 없었기 때문에 또 다시 불평하게 되었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들을 위해서 반석에서 물이 흘러나오게 하여 그들로 하여금 마실 수 있게 해주셨다. 그러나 그때에 아말렉이 이스라엘을 기습했으며, 이로 인해 이스라엘과 아말렉간에 전투가 일어났다. 이때에 모세는 아론과 훌을 데리고 산으로 가서 기도하고, 여호수아는 직접 전쟁터로 나가서 싸웠다. 이때에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겼다. 그러므로 아혼과 훌은 모세의 손을 붙잡아 내려오지 않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은 아말렉을 물리치고 승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름을 기념하기 위해서 그 곳을 여호와 닛시라고 불렀습니다. 그 후에 모세는 장인 이드로의 조언을 따라서, 천부장 백부장을 세워 백성을 관리하게 하였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시내산에 도착하게 이르자 그 곳에서 언약을 맺고 모세를 통해서 그들에게 십계명을 주셨다.

★ 적용을 위한 질문
1. 신광야에서 음식이 떨어졌을 때 이스라엘 백성은 어떻게 반응했는가?
2. 이스라엘과 아말렉과의 전쟁 방법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3.
 왜 교회에 행정 조직이 필요한 지 이야기 해보자.


(화) 출 21-24장: 언약 법전

☞ 개관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 외에 또 다른 법들을 주셨다. 우리는 이 법들을 "언약법전"이라고 부른다. 이 법들은 공의롭고 자비로운 법이었다. 하나님은 남에게 피해를 입힌 경우에 공의롭게 보상하게 하셨으며, 종들의 권리를 보장해주셨다. 하나님은 하나님 외에 다른 우상을 섬기는 것을 금지하셨다. 특히 하나님은 우상에 제거하고, 우상을 숭배하는 자와 무당들을 죽이라고 명령하셨다. 이 법이 가장 크게 강조하는 것은 연약하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보호였다. 하나님은 특별히 이방 나그네, 가난한 사람, 그리고 장애자들을 돌보라고 지시하셨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순결과 정절을 강조하셨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 중에서 순결을 잃거나 정절을 지키지 않는 사람을 무조건 죽이라고 명령하셨다. 이러한 내용들은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하신 성품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적용을 위한 질문
1. 언약법전에서 가장 크게 강조되고 있는 두 가지 정신은 무엇인가?
2. 하나님은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어떤 규례를 명하셨는가?(21:1-11,26-36)
3. 사형에 해당하는죄는 무엇인가(21:12-24) 배상과 인간관계 법을 요약하고(22장),
 23-24장에 기록된 주제들을 요약해보자.


(수) 레 25장, 출 25-27장: 성막에 대한 규례

☞ 개관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의롭고 자비로운 율법을 주셨다. 그리고 나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자신이 거할 성막을 건축하도록 지시하셨다. 이 성막은 하늘 성소의 모형으로서 하나님께서 거하실 곳이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성막을 어떻게 지을 것인지 가르쳐 주시기 위해서 성막의 설계도를 보여주셨다. 그 후에 하나님은 성막 안에 놓을 기구들, 즉 언약궤, 떡을 진열할 떡상, 성소 안을 비출 금촛대의 설계도를 보여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지성소 안에 있는 언약궤 앞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만날 것이라고 선언하셨다. 또한 하나님은 성막을 덮는 덮개와 휘장을 만드는 규례를 가르쳐 주셨고, 계속해서 제물을 태울 번제단과 성막의 뜰, 그리고 거룩한 기름을 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셨다.

적용을 위한 질문
1. 성막은 하늘 성소의 모형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상징들로 가득차 있다.
2. 언약궤와 떡상과 금촛대의 모양을 말해보고 그 기구들의 의미를 말해보자.
3. 성막을 덮는 덮개와 휘장의 모양과 재료의 모양과 그 의미를 설명해보자.
4. 번제단과 성막 뜰의 모양을 그려보고 이것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말해보자.


(목) 출 28-30장: 제사장에 대한 규례

☞ 개관
  (출28-30장)은 제사장들이 입는 복장과 규례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대제사장의 의복은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의 특성과 성품을 반영하고 있었다. 대제사장이 입는 의복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성품을 잘 나타내고 있다. 머리에 쓴 관은 예수님의 성결과 지혜를 상징하고, 청색 옷은 신성을, 흰 베옷은 거룩을, 그리고 천연색의 에봇도 그리스도의 성품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슴에 있는 열 두 보석은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중보하시는 예수님을, 옷가에 달린 석류방울은 화평이신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사장들이 행하는 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하시는 사역을 상징하고 있다. 제사장들은 백성들의 죄를 위해 희생 제사를 드렸다. 그리고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자신의 몸으로 제사를 드리시고, 우리를 하나님 앞에서 성결하게 하셨다.

 적용을 위한 질문
1. 대제사장의 복장과 규례에 묘사된 예수 그리스도의 특성과 성품을 말해보자.
2. 대제사장이 드린 제사와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왜 우리에게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필요한 지 말해보자.


(금) 출 31-35장: 금송아지 사건

☞ 개관
  하나님은 계속해서 성막에서 사용할 물품에 대한 규레를 주셨다. 그리고나서 하나님은 실제로 성막과 그 안에 놓일 기구들을 제작할 사람들을 지정해 주셨다. 하나님은 이때에 다시 한 번 제 7일을 기억하여 안식하도록 명하셨다. 모세가 산 위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성막의 규례를 받고 있을 때에 산 밑에서는 큰 사건이 일어났다. 산 밑에 있는 사람들은 모세가 오랫동안 산에서 내려오지 않게 되자, 아론에게 가서 자기들을 인도할 신을 만들어 내라고 요구했다. 아론은 그들을 두려워 하여 금으로 송아지를 만들고, 그것이 그들을 인도한 신이라고 말햇다. 그러자 백성들은 금송아지 주변에서 춤추고 놀면서 음란한 행동을했다. 이로 인해 하나님은 크게 노하셨으며 모세에게 당장 산에서 내려가라고 지시하셨다. 하나님은 범죄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멸망시키려고 하셨다. 그러나 모세가 간절히 그들을 위해서 기도하게 되자, 그들을 용서해 주셨다. 그 후에 하나님은 모세의 중보 기도를 들으시고 이스라엘 백성들과 깨진 언약을 다시 맺으셨다. 그 후에 모세는 성막을 짓기 위해서 백성들에게 예물을 드리도록 지시했고, 백성들 중에 자원하는 사람들이 성막을 만들 물품을 가져왔다. 하나님은 브살렐과 오홀리압을 지명하여 부르시고, 그들에게 하나님을 신을 충만케 하여 성막을 건축하는 일으 담당하게 하셨다.

 적용을 위한 질문
1. 모세가 산 위에서 성막규례를 받고 있는 동안 산밑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2. 모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멸망시키려 할 때에 어떻게 반응했는가?
3. 하나님은 성막을 지을 재료와 성막을 만들 장인을 어떻게 세워주셨는가?


(토)- 내용 정리 및 못 읽은 본문 읽기


(일)- 주일 예배 참석


 

             "여러분도 성경을 1년에 1독 할 수 있습니다 !"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성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통독을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연초에 셩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 읽어보겠다는 결심쯤은 한 번씩 해 보게 됩니다. 그러나 창세기에서부터 시작하여 레위기쯤에 이르게 되면, 갑자기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우리들의 결심을 자꾸 약해져 가게 됩니다. 또 어떤 사람은 잘 읽기는 하지만 그 읽는 내용이 무슨 뜻인지를 잘 이해하지 못하여, 수박 겉 핥기 식으로 장수만 채우기도 합니다.  이제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1년에 한 번 성경을 통독할 수 있게 해 드리기 위하여 이 지면을 마련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은 오늘부터 경건의 일기를 쓰기 위하여 노트를 한 권씩 준비해 주십시오! 그리고 자세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교회 지도자들에게 물으시면 적절한 지도를 해 주실 것입니다.

 1. 날짜
 2. 읽은 본문
 3. 찬송가
 4. 본문을 읽고 나서
  1) 간단한 요약
  2) 말씀을 삶에 적용하기
  # 하나님께서 나에게 주시는 새로운 교훈은 없는가 ?
  # 하나님께서 나에게 교정하라고 지시하시는 사항은 없는가?
  # 내가 그리스도인으로 온전케 되기 위해 훈련해야 할 점은 없는가?

  이러한 내용들 중에서 한 두가지만 적어 두십시오! 그러면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이 노트는 여러분들에게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