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 사역†/하나님이기뻐하시는찬양

음악이라는 벽

예림의집 2019. 3. 16. 15:58

음악이라는 벽


음악의 벽이라는 말을 조금 더 생각해 봅시다. 우리가 친구의 생일 파티에 가서 축하해 줄 때, 그냥 말로 "생일 축하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너무 밋밋하고 썰렁하기 때문에 거기에 곡조를 붙여서 "Happy Birthday to you~"하고 노래를 불러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냥 말로 할 때보다 훨씬 흥겹고 즐거운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며 어러움을 느끼거나 거부감을 갖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너무도 많이 부루고 들어서 익히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생일 축하곡을 매번 다른 곡으로 불러줘야 한다면, 더욱이 완전 4부로 화음을 맞추어 매주 한 번씩 의무적으로 축하해 줘야 한다면, 그때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그것은 이미 축하가 아니라 부담이며, 즐거움이 아니라 고역이 되어 버립니다. 아마도 이런 생일 축하 모임에는 가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음악의 벽입니다. 어차피 생일 축하곡인 만큼 가사의 내용은 다 비슷비슷하지만, 어떤 곡조*음악)로 포장되었느냐에 따라 쉽고 즐거운 축하곡이 될 수도 있고 어렵고 부담스럽고 피곤한 숙제가 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음악의 벽을 넘지 못하면, 정작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인 메시지까지 죽어버리게 됩니다.

찬송도 이와 우사한 메커니즘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우리가 옛날부터 익숙하게 알고 있는 곡조의 찬송가를 부를 때면 절로 감흥을 느끼며, 가사의 내용이 쏙쏙 머릿속에 들어와서 그야말로 완전한 '나의 노래'가 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 까닭은 이미 너무도 익숙한 곡조가 완전히 머릿속에 배어 있기 때문에 부르는 사람은 전혀 힘들이지 않고 얹어 가사만 얹어 내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잘 부르지 않던 생소한 찬송가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처음 듣는 곡조 베우랴, 박자 신경 쓰랴, 가사의 내용은 신경 쓸 겨를이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곡조와 가사, 형식과 내용 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만 기능적으로 완전한 찬양을 할 수 있는데, 불행히도 우리 주위를 보면 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그리스도인은 많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오직 곡조를 화려하게 꾸미는 데에만 매력을 느끼는 소위 전공자들이나, 화려하고 감미로운 선율이나 자극적이고 감각적인 리듬에 중독되어 말초적인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일부 CCM 가스들, 또한 무분별하게 그것을 추종하는 교회 찬양인도자들, 심지어 신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가사들도 곡조의 화려함에 묻혀 그냥 휩쓸려 가는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반면에, 가사에만 심취하여 음정 박자에 무관심하거나 아예 무시해 버리는 일부 어르신들, 수십 년 동안 부른 찬송가의 음정 박자를 아직도 틀리고 있거나 음악적 오류나 잘못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일부 목회자들이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어느 한쪽에만 치우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들입니다.

만약 두 마리 중에 어느 한 마리만 잡아야 할 불가피한 상황이 온다면, 그때는 주저 없이 곡조를 버리고 가사(내용)를 택해야 하겠지만 질서의 하나님, 음악의 하나님, 조화의 하나님께서 당연히 아름다운 선율이 덧입혀진 온전한 찬양을 더욱 기쁘게 받으실 것이라는 사실은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이제 "찬양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답을 할 때가 왔습니다. 

곡조 없는 가사는 앙꼬 없는 찐빵같이 무덤덤하고 맛이 없으며, 반대로 가사 없는 곡조는 그야말로 영혼 없는 미라처럼 전혀 생명력이 없는 껍데기 장식품에 지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찬양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기형적인 찬양이 아니라, 아름다운 곡조와 영혼을 울리는 가사가 아름답게 어우러진 새롭고 공교한(시편 33:3) 것으로 이런 찬양을 부를 때 기능적인 면에서 찬양을 잘하는 것입니다.

문제는 우리 앞을 가로막고 있는 음악의 벽을 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음악 하면 부르르 치를 떠는 사람부터, 악보의 콩나물 대가리만 봐도 두통을 앓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만 잡으면 음악의 벽을 넘어 찬양을 잘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해법이 분명히 있습니다. 결코 쉽지 않으나 적절한 방법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제가 마련한 가장 중요한 몇 가지 해법을 살펴보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