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치 한 마리
고1인 영호는 벌써 사흘째 결석이었다. 퇴근 후 담임인 김교사는 가파른 언덕을 한참 올라가 방 두 칸짜리 영호네 집을 찾았다. 방안은 어지러웠고 온갖 냄새가 코를 찔렀다.
"아직 저녁도 못 먹었구나, 그렇지?"
김교사는 구석에 던져진 라면 두 봉지를 끊여 먹으며 처음으로 영호와 많은 얘기를 나누었다. 영호는 초등학교 3학년때 부모님이 이혼했고 밤무대 밴드 마스터인 아빠와 단 둘이 살았는데 아빠는 잦은 지방 출장으로 한 달에 절반은 집에 들어오지 않는다고 했다.
"선생님, 실은 저 록카페에서 일해요, 사람들의 체취를 느낄 수 있어 좋거든요."
"그래도 공부는 때가 있단다. 아무리 힘들어도 학교는 나오도록 해라."
다음날부터 김교사는 아침마다 모닝콜을 해서 영호를 깨웠다. 그러나 일주일쯤 지나자 다시 전화를 받지 않았다. 새벽6시, 김교사는 아예 영호네 집으로 차를 몰았다.
영호는 그후부터 조금씩 달라져 갔다.가끔 수업시간에 질문도 하고 학급 친구들과 어울리며 성적도 조금씩 올라갔다.
그러나 한달쯤 지났을 때 영호는 자퇴서를 냈다.
"선생님, 노력해 봤지만 학교와 저는 도저히 맞질 않아요."
공든탑이 와르르 무너지자 김교사는 드디어 포기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따뜻한 밥이나 한끼 먹이고 싶어 영호를 데리고 식당에 갔다. 상위에 꽁치구이 한 마리가 올라왔다.
영호가 식당 주인에게 물었다.
"이 꽁치는 어떻게 요리하는 거죠?"
영호의 다음말이 가슴을 쳤다.
"내일 아빠가 오시는 데 해 드리면 맛있게 잘 드실 것 같아서요."
순간 김교사는 눈물이 핑 돌았다. 이렇게 착한 아이를 포기하려 했던 자신이 부끄러웠다. 어느덧 김교사의 머리속에는 '포기'라는 단어가 서서히 지워지고 있었다.
빈터를 보면 꽃씨를 심고 싶다/과일나무
제목으로 쓰인 '빈터를 보면 꽃씨를 심고 싶다.'는 말은 아브라함 링컨이 남북전쟁 후 피폐해진 국민들에게 '희망을 갖자'는 메시지로 한 말로 유명합니다. 교회교육을 하면서 학생들과의 거리가 점점 더 멀어지고 그로 인해 실망하는 우리에게 이 책은 '아무리 어려워도 최후까지 잃지 말아야 할 것은 희망' 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섬기는 교회학교에 빈터가 보이면 꽃씨를 심어야지요. 조그만 씨앗 봉지에 200개 또는 천개의 씨앗이 뿌려지기를 기다리고 있듯이 하나님의 빈터는 씨앗이 뿌려져 열매를 맺기를 기다립니다. 포기라는 단어를 잊어버리는 우리가 되면 좋겠습니다.
'†찬양 사역† > 새찬송가 모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나님은 사랑이에요. (0) | 2010.03.20 |
---|---|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 파이디온 십자가사랑중에서 (0) | 2010.03.19 |
놀라운 나팔 (0) | 2010.03.16 |
예장합동어린이찬송가 전곡 듣기 (0) | 2010.03.16 |
구제하는 어린이 (0) | 201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