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입을 기회가 많지 않은 한복을 제대로 갖춰 입기란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입니다.
그러나 한복은 혼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예복이므로
예비 신랑 신부라면 미리 한복을 입는 법 정도는 알아 두어야 합니다.
한복은 기본적으로 남자는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를, 여자는 치마, 저고리, 두루마기를 갖추어 입습니다.
신부의 한복은 녹의홍상으로 다홍치마에 연두저고리를
입었으나 요즘은 편의상 본인이 원하는 배색으로 맞추기도 하고,
저고리 색상만 다르게 하나 더 맞추어 두 가지 스타일로
입기도 합니다.
신랑의 경우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가 한
벌이지만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조끼와 마고자를 배자로 대신하여
구성하기도 합니다.
남자 한복 입는 순서
1. 기본 속옷을 착용합니다.
내의나 속고의를 꼭 갖춥니다.
2. 먼저 바지를 착용합니다.
큰 사폭이 오른쪽으로 가게하고 허리의 남은 부분은 바짝
당겨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끈을 둘러 맵니다.
허리끈을 리본으로 단단히 매고, 허리를 한번 접어 단정하게
마무리 합니다.
3. 저고리를 착용합니다.
동정니가 잘 맞게 저고리를 입고 안감의 띠를 묶어주
고 고름을 맵니다.
짧은 고름은 위로, 긴 고름은 아래로 가도록 놓고 위에 있는
짧은 고름은 아래로 집어넣어 대각선 모양으로 잡아당겨 여밉니다.
아래에 있는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위에 있는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싸서 뒤로 뺍니다.
고름 매무새를 잘 정리한 다음 끝자락 두 고름을 가지런히 합니다.
4. 조끼를 착용합니다.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조끼를 착용합니다.
조끼와 마고자 대신 배자를 입을 경우에도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5. 버선이나 양말을 신습니다.
버선은 바느질한 솔기가 발과 같은 방향으로 가도록 신고 발목에
대님을 맵니다.
대님을 맬 때 사폭 시접선을 복사뼈 안쪽에 대고 발목을 감싸듯
바짓부리를 돌려서 바깥쪽 복사뼈에 접은 선이 닿도록 합니다.
대님을 두 번 돌려 발목 안쪽에서 리본으로 묶은 뒤 손가락 길이
정도 고를 남기면 됩니다.
6. 마고자와 두루마기를 착용합니다.
마고자를 입을 때 어깨 선이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고, 저고리가
마고자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주의해서
착용합니다. 예를 갖추어야 할 때와 외출을 할 때는 두루마기를 갖춰
입도록 합니다.
여자 한복 입는 순서
1. 속옷을 갖춰 착용합니다.
한복의 전체 맵시는 속부터 결정되므로 속옷을 순서대로 잘 갖춰
착용합니다.
먼저 짧은 속바지를 입고 브래지어로 가슴을 고정시켜 주고 긴
속바지를 착용합니다.
브래지어는 가슴 보정을 위한 것이므로 생략해도 무관합니다.
2. 속치마를 착용합니다.
치마 밖으로 속치마가 나오지 않도록 치마 길이보다 2~3cm 짧은
속치마를 착용합니다.
속치마는 한복치마의 볼륨을 살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요즘은
체형에 따라 페티코트처럼 만들어진 속치마를 입기도 합니다.
3. 버선을 신습니다.
버선은 수눅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왼쪽과 오른쪽을 맞춰 기울어지게
신어야 합니다.
요즘의 버선은 대부분 좌우가 같으므로 수눅선을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4. 치마를 착용합니다.
치마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7~10cm정도 여며서 포개지게
착용합니다.
오른쪽 끈은 치마 말기 안쪽으로 빼서 앞으로 돌려 앞가슴에서
리본으로 묶어줍니다.
겉자락이 왼쪽으로 여며지게 하고 매듭을 약간 왼쪽으로 하여
저고리 섶이 들뜨지 않도록 합니다.
5. 속적삼과 저고리를 착용합니다.
속적삼 위에 동정니를 맞추어 저고리를 착용합니다.
저고리를 입을 때 깃 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섶을 앞으로 잡아당겨 입고, 도련 밑으로 속적삼과
치마허리가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합니다.
6. 고름을 맵니다.
고름을 반 듯하게 펴서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하고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든 다음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합니다.
왼손으로는 고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 후 아래 위로 가볍게 잡아 당기며 고름을
다듬습니다. 적당히 고름이 뜨지 않도록 하고 두 고름의 길이가
너무 차이 나지 않게 맞추고 끝자락을 가지런히 합니다.
7. 진동선과 옷 매무새를 정리합니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가슴과 어깨 사이에 있는 진동선 부분이
들뜨게 되므로 진동선을 양손으로 가볍게 잡고 바깥쪽으로
접어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옷 매무새를 잡아줍니다.
8. 두루마기를 착용합니다.
외출을 하거나 어른들께 인사를 드릴 경우 치마 뒷자락을 잘
여미고 그 위에 두루마기를 입어 예를 갖추도록 합니다.
한복 입을 때 주의 사항
1. 속옷을 반드시 갖추어 착용합니다.
속을 잘 갖춰 입었을 때 한복의 아름다운 맵시가 살아납니다.
2. 버선과 고무신을 신어야 한복 라인이 예쁩니다.
긴치마 밑으로 살짝 보이는 버선과 고무신 코의 곡선미는 우리
옷만의 특별한 멋입니다.
3. 치마는 겉자락이 위로 오도록 합니다.
치마는 입어서 뒤의 겉자락(자신의 오른쪽 자락)이 왼쪽 손으로
잡을 수 있게 입니다.
4. 저고리는 약간 숙여서 착용합니다.
깃 고대와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어깨선이 앞으로 오게 해서
입고 섶을 아래로 당겨 동정이 뒷목에 닿도록 착용합니다.
5. 고름을 수시로 정돈해 줍니다.
고름을 맸을 때 아래로 떨어진 고름 길이의 차이는 손가락 두 마디
정도가 적당합니다.
6. 화장과 머리는 단정하게 합니다.
머리는 가르마를 타 곱게 넘겨 묶거나 단정하게 올림머리를 하고,
화장은 은은하고, 단아한 느낌이 들도록 밝은 톤으로
자연스럽게 합니다.
7. 외출 시 두루마기를 착용합니다.
코트를 입는 것은 예에 어긋나므로 예를 갖추어야 할 자리와 외출
시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갖춰 착용합니다.
'ε♡з예림의집으로ε♡з > 행복한 가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 행복한 부부생활을 위한 묘약 * (0) | 2008.09.16 |
---|---|
[기타] 부모가 언제 자녀를 노엽게 하는가 (0) | 2008.09.15 |
[기타] 침 흘리는 아기가 건강하다 (0) | 2008.09.15 |
기독교인의 결혼 (0) | 2008.09.14 |
결혼준비 순서 간단정리 (0) | 2008.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