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후서와 유다서가 외경을 인용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Q. 베드로후서와 유다서가 외경을 인용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우리의 입장에 대해 쓰시오. A. 역사적으로 베드로후서와 유다서는 외경을 인용한 것으로 인해 정경으로 여겨지지 않기도 했었다. 우선 베드로후서에 대해서는 시리아 지역에서 베드로후서는 문제가 있었다. 시리아의 페시..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7.14
베드로 후서와 유다서가 외경을 인용했다는 것에 대한 우리의 입장 베드로 후서와 유다서가 외경을 인용했다는 것에 대한 우리의 입장 대부분의 학자들이 베드로후서와 유다서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에 대해 말한다. 심지어 많은 자들은 이 두 서신을 신약에서 가장 하잘 것 없는 책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렇게까지 평가를 받는 이 두 책은 신약에서 가장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7.14
요한계시록에 나타나는 이방 신화적 설명에 대해 어떠한 관점으로 해석해야 하는가? 요한계시록에 나타나는 이방 신화적 설명에 대해 어떠한 관점으로 해석해야 하는가? 요한계시록의 시대적 상황은 황제숭배 사상이 아주 넓게 나타나고 있을 때였다. 종교와 정치 간의 분리 현상을 지금은 아주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지만 고대 세계에서 이러한 명확한 분리는 존재하지..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7.11
요한복음 21장 요한복음 21장<본물 및 질문> <일곱 제자에게 나타나시다> 1: 그 후에 예수계서 디베랴 호수에서 또 제자들에게 자기를 나타내셨으니 나타내신 일은 이러하니라. Q. 디베랴 호수가 어디쯤 있지? Q. ‘그 후’는 언제로부터? Q. ‘또’ 제자들에게...나타내셨으니 : 왜 이렇게 표현했을..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7.11
● 베드로의 부인(22:54b-62) 베드로의 부인(22:54b-62) 54b. 베드로가 멀찍이 따라가니라 55. 사람들이 뜰 가운데 불을 피우고 함께 앉았는지라 베드로도 그 가운데 앉았더니 56. 한 비자가 베드로의 불빛을 향하여 앉은 것을 보고 주목하여 가로되 이 사람도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하니 57. 베드로가 부인하여 가로되 이 여..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7.09
사도바울: 비평적 서평 사도바울: 비평적 서평 1. 책 소개 장종현, 최갑종 공저『사도바울』, 천안대학교출판부, 1999 2. 저자 소개 : 장종현, 최갑종 1949년 8월 19일에 아산에서 태어난 장종현(張鍾鉉)은 1974년에 단국대학교 영어영문학를 졸업하고, 1992년에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가 되었다. 그는 학교..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7.09
엘렌 컬페퍼의 요한복음 해부 요한복음 해부 서론 대다수의 연구에 있어서 요한복음은, 복음서 기록의 과정, 복음서 저자의 신학, 요한 공동체의 특성과 배경을 입증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되어 왔다. 표준 비평방법에 의존하여, 대체로 요한 신학자들은 특징이나 자료층들이 텍스트 안에서 따로 떨어져 존재하고 있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5.06.26
성경신학적 접근: 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 성경신학적 접근: 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 서론 *간은 곳인가 다른 곳인가? -장소적 개념의 질문. -천국과 낙원은 다른 곳인가? -음부와 지옥은 같은 곳인가? 다른 곳인가? -지옥과 천국은 어디있는가? -장소의 개념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말씀보존학회) -눅 16장 꺼지지 않는 불의 의미(지..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4.10.22
21세기 성경 해석과 설교의 조명① ④작품세계에 대한 이해 -본문은 고유한 작품세계를 가지고 있다. -저자에 사건들이 선택, 배열, 묘사됨 -> 본문의 작품세계(인물, 배경, 사건) -세례요한 체포: 마가(제자파송), 마태(고향에서 배척당한 사건 다음) -예수님의 시험, 세례의 장면 등 -예수님에 대한 기독론의 문제 *예수님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4.10.19
유대인의 식사와 잔치 유대인의 식사와 잔치 유대인들은 대부분 평일에는 아침과 저녁, 하루에 두 끼의 식사를 했고 안식일에는 세 끼를 먹었다. 밀이나 보리를 맷돌로 갈아 반죽을 하여 구워 가족들과 함께 상에서 먹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상이 지금의 식탁이나 밥상 형태의 모습은 아니다. 그저 바닥에.. 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01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