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관문제란 무엇인가?
공관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복음) 상호간의 문학적인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문제를 "공관 문제"라고 부른다. 즉, 세 복음서 사이에 매우 일치하는 부분이 많이 있는 반면에 매우 상이한 차이점을 나타내는 사실을 "공관 문제"라고 부른다.
2. 두 자료설이란 무엇인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이 마가복음을 기초 자료로 사용 하였으며 마가복음에 없는 마태와 누가복음의 공통된 내용은 예수님의 말씀으로 이루어진 어떤 공통된 자료(Q자료)를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는 설이다.
3. 네 자료설은 무엇인가?
마태와 누가복음이 마가복음이 마가복음을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Q자료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특수자료(마태복음: M자료, 누가복음: L자료)를 사용하였다는 설이다.
4. 마태복음에 나타나는 모세 유형론은 무엇인가?
마태가 마태복음을 기록하면서 예수님을 '새 모세' 혹은 '모세보다 뛰어난 자'로 전하려고 했다는 이론이다. 그리하여 예수님의 생애가 모세의 유형에 따라 전개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는 율법의 권위 밑에 살던 유대인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면서 유대인들에게 최고의 권위로 생각 되어온 모세에 견주어 에수님을 소개하려고 의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5. 마태복음에 나타난 유대적 특징들은 무엇인가?
마태복음에 모세 유형론, 오경적 구조 등은 마태가 유대인 독자들을 염두에 둔 유대적 특징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마태복음의 독자들이 주로 유대인들이었기 때문이다. 그 특징들로는 빈번한 구약성경의 인용, 독특한 유대적 표현들, 예수님의 공생애 활동이 오직 유대인들만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말씀이 강조된 점, 모세 율법의 계속적 타당성이 강조된 점, 히브리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교차대칭구조' 혹은 평행법을 사용했다는 점, 독특한 숫자를 사용했다는 점, 유대인들만이 가지는 제도와 습관을 상세히 소개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6. 마태복음의 오경적 구조설을 설명하라.
마태복음은 모세 오경의 구성 패턴에 따라 다섯 개의 주요 설교군으로 구성되어 잇으며 서론과 결론을 첨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산상설교, 제자 파송 설교, 천국 비유 설교, 교회에 대한 설교 그리고 종말에 대한 설교인다.
7. 마가복음의 구조를 설명하라.
마가복음의 전체 구조는 두 가지 종류의 자료들, 즉 이적 설화와 수난 설화를 중심으로 구분되고 있다. 전바부 1-8장은 이적 설화로 후반부 9-16장은 수난 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 이적 설화의 메시지는 예수님을 능력을 행하시는 하나님의 아들로, 후반부 수난 설화의 메시지는 고난당하는 하나님의 아들로 전하는 것이다. 또한 공간적인 구성에서도 전반부는 갈릴리를 배경으로 후반부는 예루살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전반부와 후반부를 나누는 중요한 사건이 마가복음 8장 27-31절에 나오는 베드로의 신앙 고백이다.
8. 마가복음의 신학적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라(요점).
마가복음은 처음부터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강조한다. 마가복음은 행동의 복음서로 예수님의 여러 활동들을 주로 기술하고 있다. 또한 마가복음은 이방 선교의 경향이 있고, 예수께서 자신이 메시아이심을 감추셨다는 내용이 담고 있다. 마가복음은 에수님의 수난, 죽음, 부활에서 절정을 이루고 있는 수난 중심의 복음서이다. 마가복음음 전체구절의 삼분의 일이 예수님의 이적 기사들로 이루어졌다. 이는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로서 초자연적 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예수님의 공생애의 활동 중심이 갈릴리 지방으로 제한되어 있다.
9. 누가복음의 신학적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라(요점).
누가복음에서는 그 당시 소외 계층인 세리와 죄인들에 대한 관심이, 가한 자에 대한 관심, 여인에 대한 관심, 사마리아인에 대한 관심, 이방인들에 대한 관심, 병자들에 대한 관심, 기도에 대한 관심, 성령에 대한 관심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는 누가의 인도 주의적 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이는 하나님의 축복이 유대인 뿐이 아닌 소외된 자들과 이방인도 포함된다는 것을 전하고자 함이다.
10. 요한복음의 구조를 설명하라.
요한복음은 다른 복음서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다. 요한복음은 요한이 동일인에게 보낸 두개의 서신 중의 첫 번째 서신이다.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서론과 증언들, 제 1권인 표적의 책, 제 2권인 영광의 책,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한복음은 서론에서 주요 주제와 흐름과 주인공을 소개하며, 예수님의 모든 표적들은 본론의 전반부에 서술되어 있으며, 두 번째 부분은 마지막 만찬으로 수난과 부활 후의 영광을 말하였다. 요한복음은 다른 공관복음서들과 달리 그 전환점을 한 알의 밀에 대한 말씀으로 표시하였다.
11. 요한복음의 신학적 특징들을 간략하게 서술하라(요점).
요한복음은 단순한 언어와 심오한 신학의 결합이다.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였다. 다른 복음서와 달리 서두에 예수님의 탄생과 어린시절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지 않고, 독특하게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로 시작한다. 또한 요한복음은 에수님의 긴 강화들이 중심을 이룬다. 그 강화들의 특징은 일곱개의 "나는.... 이다" 라는 말씀으로 절대적인 선언인 것이다. 나는 생명의 떡이다,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는 양의 문이다, 나는 선한 목자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나는 참 포도나무다 등이 일곱 선언이 나온다. 또한 일곱개의 표적 사건이 있는데 가나안의 혼인 잔치에서의 표적, 왕의 신하의 아들을 고침, 베다스다 못 가에서 병자를 고침, 오천명을 먹임, 물 위를 걸으심, 날 때부터 소경된 자를 고침, 죽은 나사로를 살리심 등이 있다. 이러한 말씀과 표적들은 서로 짝을 상호보완 관계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요한복음은 실현된 종말론적 관점을 더 강조한다. 예수님의 이적과 기적은 다가올 영광의 때를 예표하는 모형이다. 이 영광의 때는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으로 시작된다.
12. 하나님 나라가 현재적으로 임한 증거들을 서술하라.
요한복음은 하나님의 실현된 종말론적 관점을 더 강조하였는데, 예수님의 이적과 기사들은 완성된 하나님의 나라를 예고적으로 미리 타나낸 것이다. 이는 귀신 축출, 병고침, 죄사함, 배고품의 해결, 그리고 구원의 현재적 소유들을 통하여 사탄의 세력에서 벗어나 의와 생명의 하나님 나라로 옮겨 가는 것이며 우리가 죄를 회개하고 믿음으로서 지금 구원과 영생을 받아 소유한다는 것으로 하나님 나라가 현재에 임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이것은 최종적인 것이 아니며 더욱 더 완전한 상태로 발전해 나감을 기대하고 잇는 것인데, 그것은 하나님께서 현재의 역사 속에서도 활동하고 계신다는 것을 말한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학습 도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복음서 대조표 ◈ (0) | 2008.12.10 |
---|---|
히브리어 해석!! (0) | 2008.12.09 |
당신에게 힘이 되는글 (0) | 2008.12.07 |
가장 귀한 선물 (0) | 2008.12.01 |
사랑합시다. (0) | 2008.11.26 |